‘던전’은 캐릭터의 성장뿐만 아니라, 고급 장비나 강화 재료를 수급할 수 있어 게이머들에게는 중요한 콘텐츠입니다. ‘RF 온라인 넥스트’에서는 스킬 강화 재료와 탈릭을 얻을 수 있는 주요 수급처이기 때문에, 매일 빠짐없이 던전을 도는 것이 중요한데요.
월드보스 브리트라
‘RF 온라인 넥스트’에는 사이언 훈련소, 월드보스, 지역 던전, 이렇게 세 가지 던전이 있습니다. 던전은 매일 정해진 시각에 도전할 수 있거나 정해진 횟수나 시간에만 이용할 수 있죠. 보상으로는 레벨업에 필요한 경험치, 그리고 캐릭터 성장 및 강화에 필요한 각종 재화와 아이템이 준비되어 있는데요. 이번 <공략Zip> 3편에서는 ‘던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F 온라인 넥스트’ 메뉴 화면 중, ‘사이언 훈련소’
사이언 훈련소
‘RF 온라인 넥스트’ 던전들은 이전 <공략Zip>에서도 간략하게 다뤄진 바 있습니다. 이번 편에서 가장 먼저 소개해드리는 ‘사이언 훈련소’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사이언 훈련소는 ‘바이오슈트 훈련 모드’와 ‘신기 훈련 모드’ 두 가지가 있으며, 이 중 ‘바이오슈트 훈련 모드’는 장비 강화 아이템인 ‘탈릭'을 얻는 방법을 설명하며 언급한 바 있죠.
던전 ‘사이언 훈련소’는 ‘탈릭’의 주요 수급처 중 하나입니다
‘바이오슈트 훈련 모드’와 ‘신기 훈련 모드’를 아우르는 사이언 훈련소는 스테이지 클리어 방식의 던전입니다. 높은 단계의 스테이지를 클리어 할수록 더 많은 보상을 획득할 수 있죠. 한 번 클리어한 스테이지는 ‘소탕’을 통해 전투 없이 클리어할 수 있습니다. 사이언 훈련소 이용을 위해선 각각의 모드 전용 입장권이 필요한데요. 각 모드별 하루 2장씩 지급되며, 최대 10장까지 보유 가능합니다. 아울러 스테이지 클리어 실패 시 입장권은 되돌려 받기에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하시길 바랍니다.
각각 고유한 입장권을 소모해 입장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슈트 훈련 모드’는 가상의 용병 캐릭터와 1 대 1로 싸우는 방식이며, MAU와 런처 소환이 불가합니다. 오직 캐릭터만으로 싸워야 하기에 높은 단계의 스테이지 클리어를 위해선 캐릭터의 육성도가 중요합니다. 고급 장비 수집 및 강화, 그리고 스킬 강화 등을 꾸준히 해야 하며, 높은 등급의 바이오슈트까지 착용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지요. 주요 보상으로는 장비에 장착하는 ‘탈릭’과 신기 레벨업, 전투 모듈 강화, 장비 프라임 개조 등에 사용되는 ‘아케인 노드’, ‘일반 등급 공용 전투기술 데이터’, 그리고 수집형 아이템인 ‘메모리칩(및 메모리칩 상자 재료)’ 등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신기 소환이 제한된 상태에서 1 대 1로 싸우는 방식의 ‘바이오슈트 훈련 모드’
‘신기 훈련 모드’는 MAU와 신기간의 전투를 펼치는 방식입니다. 보유한 신기 중 ‘격납고 등록’을 한 신기가 출격하죠. 당연히 보유한 신기의 레벨업, 높은 등급의 신기 제작 및 획득 등이 클리어 여부를 가릅니다. 신기 레벨업에 필요한 재료는 앞서 언급한 아케인 노드인데요. ‘신기 훈련 모드’의 주요 보상 중 하나로 동일 단계 기준 ‘바이오슈트 훈련 모드’보다 많은 아케인 노드를 얻을 수 있죠. 메모리칩도 보상에 포함되어 있으며, 신기 출격에 필요한 재료인 ‘홀리가스’도 획득할 수 있습니다.
MAU와 런처를 동시에 소환해 전투를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월드보스
‘월드보스’는 다른 유저들과 함께 거대 보스를 공략하는 콘텐츠입니다. 현재 세 종의 월드보스가 마련되어 있으며, ‘브리트라’는 35레벨 이상, ‘글레바’는 50레벨 이상, ‘스톤웜’은 65레벨 이상 캐릭터가 입장할 수 있죠. 세 가지 보스는 각기 정해진 날짜에 하루 3번 출몰하는데요.공식 커뮤니티 공지 사항을 통해 월드보스 스케줄을 확인해 보세요.
현재 게임에서 토벌할 수 있는 ‘월드보스’ 3종
월드보스 입장 시 ‘월드보스 입장권'을 사용해야 합니다. 하루 한 개의 월드보스 입장권이 지급되는데, 앞서 언급한 사이언 훈련소 입장권과 달리 최대 보유량이 단 1개입니다. 따라서 월드보스는 하루도 빠짐없이 공략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여도가 높을수록 더 좋은 보상을 기대할 수 있지만, 참가하고 클리어만 하더라도 최소한의 보상을 얻을 수 있으니까요.
월드보스 입장권은 일일 1회 지급됩니다. 1개 이상 충전되지 않으니 그날 바로 써야하죠.
월드보스 공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보상으로는 각 월드보스의 메모리칩, 일반~영웅 등급 장비를 얻을 수 있는 ‘장비 보급 상자 I~III', 그리고 ‘모험 코인’ 등이 있습니다. 이 중 모험코인의 경우 벨라토 시티, 아크바란, 코르티아 등 국가들의 수도에 위치한 ‘모험코인 상인’에게서 스킬 강화 재료, 패시브 스킬 등을 구매하는데 쓰입니다.
‘지역 던전’ 선택 화면. 입장 버튼 위로 기본 시간+티켓을 이용한 충전 시간이 표시됩니다
지역 던전
마지막 순서인 ‘지역 던전’입니다. ‘자동 사냥’ 모드를 활성화한 채 출몰하는 몬스터들을 사냥한다는 점에서는 필드 사냥터와 다를 바 없지만, 이용 가능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는 부분이 큰 차이점이죠.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 던전은 ‘안드로이드 폐기장’과 ‘네메시스 비밀기지’ 두 곳인데요. ‘안드로이드 폐기장’은 일일 1시간(매일 오전 5시 초기화), 네메시스 비밀기지는 매주 10시간(매주 월요일 오전 5시 초기화)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각 지역 던전의 체류 연장권을 소모해 이용 시간을 늘릴 수 있죠.
크레딧과 경험치 획득 효율이 높게 책정되어 있는 ‘지역 던전’
지역 던전에서는 컬렉션 아이템, 장비 및 장비 제작 설계도, 장비 강화·제작 재료 등 다양한 보상을 기대할 수 있죠. 또, 캐릭터 레벨업을 위한 경험치와 다양한 활동에 쓰이는 인게임 기본 화폐 크레딧을 일반 사냥보다 더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폐기장’과 ‘네메시스 비밀기지’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이용 가능한 시간이 다른 점은 앞서 언급했죠. 이밖에 다른 점으로는 획득 가능한 보상입니다. ‘네메시스 비밀기지’에서는 안드로이드 폐기장보다 다양한 보상을 얻을 수 있는데요. 특히, 장비 제작 재료 및 장비를 획득할 수 있죠. 일반 사냥터에 비해서도 획득 확률이 높은 편이고, 최상층인 ‘네메시스 비밀기지 3층'에선 보라색 등급 프라임 무기도 드랍되죠. 아울러 전설 등급 MAU인 ‘오딘’의 설계도도 ‘네메시스 비밀기지’ 3층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네메시스 비밀기지’ 최상층 보상 테이블에는 최고 등급 MAU 오딘의 설계도가 있습니다
이처럼 ‘네메시스 비밀기지’는 ‘안드로이드 폐기장’보다 얻을 수 있는 것이 많은 대신,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안드로이드 폐기장의 경우 PvP가 금지된 ‘평화 지역’이어서 안전한 사냥이 가능하죠. 그에 비해 네메시스 비밀기지는 PvP가 가능한 ‘위험 지역’입니다. 물론, PvP 페널티가 존재하는 구역이므로 서버 분위기에 따라 PvP 빈도가 다르겠지만 사냥 중 다른 유저에게 공격을 받아 사망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사망 시 페널티가 적용되어 국가 공헌도가 차감되고, 던전에서 퇴장하게 될테니까요.
광산 전쟁 이후 열리는 ‘공용 채굴장’과 ‘전용 채굴장’
위 두 가지 지역 던전 외에도 ‘공용 채굴장’과 ‘전용 채굴장’이 있는데요. 이 두 개 던전은 광산 전쟁 종료 후 열립니다. ‘공용 채굴장’은 광산 전쟁 결과와 상관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지역 던전으로 50레벨 이상의 용병이라면 입장 가능하며, PvP 가능한 위험 지역(페널티 있음), 일일 이용 시간은 1시간입니다. ‘전용 채굴장’은 광산 전쟁 최종 승리 길드만 이용할 수 있는 전용 던전으로 55레벨 이상 캐릭터가 입장할 수 있으며, 평화 지역으로 설정되어 있죠.
지금까지 ‘RF 온라인 넥스트’의 던전 콘텐츠인 사이언 훈련소, 월드보스, 지역 던전을 살펴봤습니다. 베테랑 용병을 목표로 하신다면 매일 꾸준히 세 가지 던전을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